메뉴 건너뛰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강서대학교 로고

전체메뉴 보기

전체메뉴 닫기

상담심리학과

상담심리학과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 상담심리학과는?

    상담심리학과는 모든 심리지원 활동에 근거-기반 모델을 구현하는 전문성과 현장 중심 실무에 탁월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실용성, 그리고 시대에 요구되는 상담문화 확산에 기여하는 창의성을 가진 상담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교육목적

    • ·"근거-기반으로 현장중심 심리지원을 구현하는 상담전문가"

    교육목표

    • · 전문성 : 모든 심리지원 활동에 근거-기반 전문가 모델을 구현하는 상담전문가 양성
    • · 실용성 :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현장중심 실무에 탁월한 역량 발휘할 수 있는 준비된 상담전문가 양성
    • · 창의성 :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되는 상담문화 확산에 창의적으로 기여하는 상담 전문가 양성

    전공능력

    전공능력표-전공능력, 정의, 하위요소, 정의, 수행지표(Performance Indicator)로 구성됨
    전공능력 정의 하위요소

    정의

    수행지표(Performance Indicator)
    1.일반상담
    능력
    근거-기반 지식을 바탕으로 상담현장에서 사용되는 개입전략 및 기술을 적용하고 상담심리 전문가로서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태도를 수행하는 능력 1.1 상담심리 지식 상담심리에 관한 근거-기반 기본 이론에 대한 활용 능력 1.1.1 상담을 통한 인간 변화 과정을 심리학적 이론과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1.1.2 문제 유형별, 내담자 특성별로 효과적인 근거-기반 상담 접근법을 변별할 수 있다
    1.1.3 근거-기반 상담심리 이론을 활용하여 사회적 현상과 문제를 분석할 수 있다
    1.2 상담개입 및 기술의 적용 상담심리에 관한 전문가 활동 시 사용한 전략 및 구체적인 기술 활용 능력 1.2.1 이론적 접근에 따라 다양한 상담 전략과 기술을 설명할 수 있다
    1.2.2 문제 유형별, 내담자 특성별로 효과적인 상담 개입을 실시할 수 있다
    1.2.3 구체적인 상담 전략 및 기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3 상담 전문가 소명에 대한 태도 상담심리 전문가로서 책임과 윤리를 기반으로 한 직업적 소명 의식 실현 능력 1.3.1 상담심리 전문가 윤리 원리 및 구체적인 윤리 지침을 설명할 수 있다
    1.3.2 상담 실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딜레마를 상담윤리 원리를 적용하여 분석할 수 있다
    1.3.3 상담심리 전문가로서 책임과 윤리의식을 개인의 가치와 윤리의식으로 통합할 수 있다
    2.상담현장
    실무능력
    심리지원이 이루어지는 현장을 이해하고 현장에 맞는 프로젝트를 기획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연구해 나가고자 하는 태도를 실천하는 능력 2.1 심리지원 현장에 관한 지식 상담현장에서 심리지원에 사용되는 지식 능력 2.1.1 상담 장면별, 대상별, 문제 영역별로 상담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설명할 수 있다
    2.1.2 상담 현장의 여건 및 요구에 맞게 상담 이론과 지식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2.1.3 지역사회 심리학적 기반 심리지원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2.2 심리지원 현장 실무 수행 능력 상담현장에서 심리지원 서비스를 구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실무적 기술 능력 2.2.1 상담 요구 및 상담 기관의 환경을 고려한 다양한 심리상담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2.2.2 다양한 심리상담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홍보, 실시, 평가할 수 있다
    2.2.3. 내담자의 사회적 환경, 상담 환경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다양한 자원을 활용한 통합적 심리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2.3 현장 중심의 지속적 수행 태도 상담 대상자 및 영역별 현장중심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태도능력 2.3.1 심리서비스의 안정적,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것을 예측, 계획할 수 있다
    2.3.2 심리서비스의 지속적 수행에 필요한 제도와 규정을 개발할 수 있다
    3. 프로그램개발및
    운영능력
    상담심리 개입 및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적용하여 우수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창의 융합적 태도를 실현하는 능력 3.1 프로그램 개발 과정 지식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지식 능력 3.1.1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일련의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3.1.2 심리학적 이론과 연구에 기초한 상담 프로그램 내용을 개발할 수 있다
    3.2 프로그램 제안 실제적 기술 프로그램 기획, 제안, 평가에 관한 보고서 작성 및 설명 능력 3.2.1 프로그램의 목적, 실시방법, 구성요소, 기대효과에 대해 구체적이고 명료한 방식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다
    3.2.2 프로그램 평가를 위해 다양한 지표를 활용할 수 있다
    3.2.3 프로그램 기획 및 제안서를 작성할 수 있다
    3.3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창의 융합적 태도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창의 및 융합적 시도를 지속하고자 하는 능력 3.3.1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3.3.2 인문학 및 새로운 영역의 융학적 접근에 대한 의미를 기술할 수 있다
    3.3.3 창의융합적인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할 수 있다

    전공교육과정 이수체계도

    전공교육과정 이수체계도

    특성화

    • ·서울 서남권(강서, 양천) 유일한 종합대학교의 심리학 관련 전공
    • ·지역사회 심리지원 네트워크 및 민, 관, 산학 협력 특성화
    • ·기초심리학 및 상담이론과 실제에 관한 연구 및 상담훈련과 실습을 겸비
    • ·대학 내 학생상담센터에서의 상담실습과 비교과교육의 연계
    • ·강서교육복지센터, 강서지역아동센터협의회, 강서건강가정지원센터, 새중앙상담센터, 다움상담코칭센터, 마인드플레이스, 강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를 비롯한 여러 기관과 산학협력 체결 및 각 기관과 연계된 상담 및 임상실습 교과과정 구축
    • ·(사)한국심성교육개발원과 산학협력 체결 및 기관과 연계된 독서심리상담사2급 자격증 교과과정 구축
    • ·또래상담을 비롯한 다양한 소그룹 모임
    • ·평생지도교수제를 통한 졸업 후 진학 및 취업지도

    졸업 후 진로

    • ·전문상담기관, 심리치료센터 및 정신의료기관
    • ·건강가정지원센터, 사회복지기관 및 재활시설
    • ·학교상담실, 상담교육기관 및 교육 공공기관
    • ·기업 및 산업체 인사파트 및 부설 상담소
    • ·아동·청소년 상담센터 및 보호기관
    • ·노동부 지방 관서 및 고용안정센터, 직업상담기관
    • ·코칭전문 기업체, 학습코칭 및 진로코칭 컨설팅 분야
    • ·경찰청 심리분석 전문가 및 피해자 심리지원 분야
    • ·법무부 교정분야 및 소년원 상담지원 분야
    • ·중독 및 인터넷 예방상담 기관
    • ·국방부 병영생활상담관 및 군상담 기관

    취득가능 자격증

    취득가능 자격증 표-자격증, 응시자격, 시험과목, 시행처로 구성됨
    자격증 응시자격 시험과목 시행처
    임상심리사(2급) 임상심리와 관련하여 1년 이상 실습수련을 받은 자 또는 2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로서 대학졸업 및 졸업예정자
    • <필기> : 심리학개론, 이상심리학, 심리검사, 임상심리학, 심리상담
    • <실기> : 임상 실무
    한국산업인력공단
    청소년상담사(3급) 대학 및 평생교육법에
    따른 학력이 인정되는 평생교육시설의
    상담관련분야 졸업(예정)자
    • <필수> : 발달심리, 집단상담의 기초, 심리측정 및 평가, 상담이론, 학습이론
    • <선택> 1과목 선택 : 청소년이해론, 청소년수련활동론
    한국청소년
    상담복지개발원
    직업상담사(2급) -
    • <필수> : 직업상담학, 직업심리학, 직업정보론, 노동시장론, 노동관계법규
    • <실기> : 직업상담 실무
    한국산업인력공단
    독서심리상담사(2급) 상담관련전공
    대학 졸업예정자 및 졸업자
    독서심리상담사 과목 90~120시간 이상 이수 한국심성교육개발원
    상담심리사(2급) 상담관련학위 취득자
    • 1) 학사학위 취득 후, 2년(24개월) 이상의 상담경력
    • 2) 학부과정 중 과목이수 (상담3과목, 기초3과목)
    • <시험과목> : 상담심리학, 발달심리학, 심리평가, 학습심리학, 이상심리학
    • [기초 과목] 심리통계, 연구방법론, 실험설계, 동기와 정서, 성격심리학,
      사회심리학, 발달심리학, 학습심리학, 조사방법론 등
    • <이수과목>
      [상담관련과목] 심리치료이론, 집단상담, 상담사례실습, 정신병리, 심리평가,가족상담, 청소년상담, 진로상담 아동상담, 상담심리학, 이상심리학, 심리검사,임상심리학, 학교심리학, 교육심리학 등
    한국상담심리학회
    전문상담사(2급) 대학에서 상담관련
    36학점 이상 이수한 자
    다음 중 6과목 선택
    상담윤리, 상담 이론과 실제집단상담,
    (심리)평가와 진단 상담연구방법론, 진로상담, 가족상담
    한국상담학회
    또래상담지도사 상담관련전공 대학졸업자 또래상담지도자 프로그램 이수(15시간) 한국청소년
    상담복지개발원

    학과연락처

    학과연락처-소속, 성명, 전화번호, FAX로 구성됨
    소속 성명 전화번호 FAX
    상담심리학과 정소망 02-2600-2525 02-2600-2528
  • 교수소개

    • 홍이화 교수사진

      홍이화 Hong, Riwha

      전공
      심리학과 종교
      학위
      Drew University, Ph.D.
      직위
      부교수
      보직
      교육대학원장
      전화
      (연구실) 02-2600-2595
      메일
      rhong@gangseo.ac.kr
      VIEW MORE >
      전공 및 학위
      • - 홍익대학교 (B.A.)
      • - 홍익대학교 대학원 (M.A.)
      • - Emory University, U.S.A. (M.Div.)
      • - Drew University, U.S.A. (M.Phil.)
      • - Drew University, U.S.A. (Ph.D.)
      경력
      • - 2016. 6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국제교류위원
      • - 2015. 6 ~ 현재 추계예술대학교 교수학습 및 학생상담지원센터 자문위원
      • - 2013. 9 ~ 현재 강남구 압구정노인복지센터 운영위원
      • - 2013. 9 ~ 현재 강남구 희망복지지원단 슈퍼바이저 (통합사례관리 자문위원)
      • - 2013. 11 ~ 현재 한국목회상담협회(KAPC) 상담 감독
      • - 2012. 8 ~ 현재 신세계평생교육원 상담학 운영교수
      • - 2012. 6 ~ 현재 한국목회상담학회/한국목회상담협회(KAPC) 운영위원
      • - 2011. 3 ~ 현재 이화상담심리연구소 소장
      • - 2011. 3 ~ 2013. 2 주안대학원대학교 조교수
      • - 2012. 3 ~ 2013. 2 주안대학원대학교 선교상담연구원 원장
      • - 2001. 8 Chaplain Intern, Emory Healthcare Center for Pastoral Services, U.S.A.
      저서
      • -현대정신분석(공역). 지혜와 사랑 (2019)
      • -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 이야기 I.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11)
      논문
      • - “Korean Self and Selfobject.” Theology and Praxis 75 (2021).
      • - “A Selfobject in God-Talk.” Theology and Praxis 70 (2020).
      • - “Self-Psychological Appreciation of Shame." 케이씨대학교 교수논문집 19 (2019).
      • - "Re-reading Freud’s View of Religion in the Image of the Father-God and Feminist Implications." Theology and Praxis 65 (2019).
      • - “Heinz Kohut’s Understanding of the Self”. 케이씨대학교 교수논문집 18 (2018).
      • - “Family Therapy focusing on Filial Piety among Korean Husbands in Light of Family Systems Theories.” Theology and Praxis 60 (2018).
      • - “케이씨 대학교 신입생들의 MBTI 성격유형검사와 재학생들의 CAT 대학생활 적응력 검사와의 상관관계 연구.” 케이씨대학교 교수논문집 17 (2017).
      • - “Projective Identification and Image of God.” Theology and Praxis 55 (2017).
      • - “Do Psychological Studies of Battered Women harm the Issue of Woman Battering?”Theology and Praxis 50 (2016)
      • - “한국인의 수치심(shame) 이해를 위한 하인즈 코헛(Heinz Kohut) 이론의 재 고찰: 객체적 자기인식(objective self-awareness) 안에서의 수치심.” 신학과 실천 48 (2016)
      • - “Vincent Van Gogh on the Map of Heinz Kohut’s Self Psychology.” 케이씨대학교 교수논문집 15 (2015)
      • - “새롭게 등장하는 가족에 대한 돌봄.” 신학과 실천 46 (2015)
      • - “A Reapplication of Erikson's Theory of Identity Development to Female Identity Development.” Theology and Praxis 45 (2015)
      • - “선교와 상담: 자기대상(Selfobject)과 돌봄 선교.” 미션네트워크 (2012)
      • - “Women's Relational Self and Pastoral Counseling." Theology and Praxis 29 (2011)
      • - “섭식장애와 목회적 돌봄: 자기의 결핍(deficits in the self)의 관점에서.” 신학과 실천 28 (2011)
      • - “자기사랑을 위하여: 건강한 나르시시즘(Narcissism)." 기독교사상 (2011/4)
      • - “자기의 회복: 자기애적 전이(Narcissistic Transference)." 기독교사상 (2011/3)
      • - “자기의 치료: 공감(Empathy)." 기독교사상 (2011/2)
      • - “자기애적 분노(Narcissistic Rage)." 기독교사상 (2011/1)
      • - “중독(addiction)." 기독교사상 (2010/12)
      • - “자기의 결핍(deficit)." 기독교사상 (2010/11)
      • - “자기의 구축(construction)." 기독교사상 (2010/10)
      • - “자기의 자기대상(selfobject)." 기독교사상 (2010/8)
      • - “내 안의 나, 자기(self)." 기독교사상 (2010/7)
      • - “나르시시즘(Narcissism), 지독한 자기(self)사랑?” 기독교사상 (2010/6)
      • - “수치심에 대한 자기심리학적 이해와 목회적 돌봄.” 목회와 상담 15 (2010)
      • - “자기애성 성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와 그 목회상담적 함축.” 신학과 실천 23 (2010)
      • - “An Integrated Approach of Cross-Cultural and Korean Indigenous Psychology to the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in Korea.”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66 (2009)
      • - “한국문화 안에서 목회상담가의 자기대상(selfobject) 기능.” 한국기독교신앙논총 62 (2009)
      • - "Shame in the Korean Uri Culture: An Interpretation of Self Psychology and KoreanIndigenous Psychology." Ph.D. Dissertation. Psychology and Religion, Drew University (2008)
      • - “An approach of Pastoral Psychology to the Shame Experience.” Theology and Praxis 80 (2022).
    • 최정헌 교수사진

      최정헌 Choi, Junghun

      전공
      상담학
      학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 (Ph.D.)
      직위
      조교수
      전화
      (연구실) 02-2600-2573
      메일
      jhvis@gangseo.ac.kr
      VIEW MORE >
      전공 및 학위
      • -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B.A.)
      • -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상담학 석사 (Th.M.)
      • -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 (Ph.D)
      • -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통일정책전공)
      경력
      • - 현) KC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 학과장
      • - 현) 한국중독상담학회 학술위원장
      • - 현) 한국상담진흥협회 국가정책위원장
      • - 현) 한국기독교상담학회 중독분과위원장
      • - 전) 한국중독심리학회 자격관리이사
      • - 전) 한국상담학회 통일상담연구위원장
      • - 전) KC대학교 평생교육원장, 학생상담센터장
      • - 전)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상담코칭심리학 교수
      • - 전)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강원센터 센터장
      • - 전) 연세대학교 상담코칭지원센터 실장/수석연구원
      • - 전) 연세대학교 겸임교수
      수상경력
      • - 문화관광부장관상 수상
      • - KAATS 최우수논문상 수상
      • - 경찰교육원장 감사장 수상
      저서
      • - 중독상담학 개론(2019 세종도서 선정)
      • - 중독과 영성
      • - 기독상담방법론
      논문
      • - 2020 "비대면 전면 전환 학습경험: 상담전공생을 중심으로"
      • - 2020 "비교과 핵심역량 매핑분석을 통한 개선점“
      • - 2018 “4차산업시대에 상담코칭전문가의 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 2018 “공동체 가십(gossip)의 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 - 2015 “결혼상담에서 가족시스템이론의 치료적 개입 연구” 한국법치행정학회보
      • - 2015 “조직구성원을 위한 생태적 감수성 모형 연구” 대한산업경영학회지
      • - 2014 “강원지역주민의 도박중독 및 카지노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 - 2014 “스트레스와 도박문제 : 여가활동과 행복경험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 - 2014 “강원도민의 도박중독 및 강원랜드 카지노에 관한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보고서
      • - 2014 “강원 지역주민들의 스트레스 경험이 도박문제에 미치는 영향 -여가활동과 행복경험의 보호효과-” 연구보고서
      • - 2013 “카지노 인근지역 장기체류자들의 도박경험 및 삶에 관한 탐색적 연구”한국지역사회복지학
      • - 2013 “수퍼비전(Supervision) 활동에 관한 통합적 접근: 자문, 교육, 상담, 평가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 2012 “남성우울 극복과정과 비판적-구성적 성찰”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 2011 “강요된 신앙경험 사례를 위한 체계적 접근 방법론 모색”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 2011 “북한이탈주민들의 전문상담사 상담경험에 관한 질적연구”상담학연구
      • - 2010 “북한이탈주민 전문상담사의 효과성 탐색: 북한이탈주민의 상담경험과 만족(도)에 관한 통합적 연구” 연세대학교출판부
      • - 2009 “CPE(Clinical Pastoral Education)경험자의 자기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 2009 “북한이탈주민 민간협력사업 프로그램 서비스에 관한 만족도(NKDS-Model) 연구” 연세대학교출판부
      • - 2009 “CPE(Clinical Pastoral Education)경험자의 자기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들출판사
      • - 2009 “CPE 경험분석에 따른 자기인식의 장(Feild)”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학위논문
      • - 박사논문 : “남성 우울증 극복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2010)”
    • 계은경 교수사진

      계은경 Gye, Eun Gyoung

      전공
      교육상담
      학위
      서울대학교, Ed.D
      직위
      조교수
      보직
      학과장, 인권센터장
      전화
      (연구실) 02-2600-2552
      메일
      0f36@gangseo.ac.kr
      VIEW MORE >
      전공 및 학위
      • -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학사
      • -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상담 석사
      •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Ed.D)
      자격증
      • - 상담심리사 1급(한국상담심리학회)
      • - 청소년상담사 2급(여성가족부)
      경력
      • - 2019~2020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상담센터 선임상담원
      • - 2019~2020 안양대 교육대학원 출강
      • - 2018~2020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출강
      • - 2017~2018 광운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출강
      • - 2015~2016 치유의뜰 헤세드 선임상담원
      • - 2013~2015 숭실대학교 베어드학부 출강
      • - 2010~2012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전임상담원
      • - 2007~2009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전임상담원
      논문
      • - 계은경, 성윤희(2023). 초심상담자의 어려움에 대한 숙련수퍼바이저의 개념화 연구. 인문사회21, 14(1) , 2665-2680.
      • - 성윤희, 계은경(2022). 가족 스트레스가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의 이중매개 효과. 인문사회21, 12(4), 2535-2550.
      • - Kwon, K., Kim, J., & Gye, E.,(2019). Korean Counseling Students’ Perceptions of Dual Relationships in Group Counseling Coursework. Journal of Asia Pacific counseling, 9(2), 17-37.
      • - 권경인, 계은경, 김지연(2017). 집단상담 수업 경험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어려움과 대안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18(1), 181-204.
      • - 권경인, 김지연, 계은경(2017). 집단상담 수업 경험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내용, 방법, 성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17(4), 1-25.
      • - 홍지선, 계은경(2016). 여성진로장벽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과 향후 과제. 상담학연구, 17(3), 225-250.
      • - 권경인, 김지연, 계은경(2016). 집단상담 강의 운영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탐구. 상담학연구, 17(4), 159-184.
      공동 저서
      • - 멘토를 위한 청소년 멘토링 가이드북 (2011, 서울대학교출판부)
      • - 인터넷중독 학부모개입 지침서3 (2009,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학위논문
      • - 상담수퍼비전을 통한 초심상담수련생의 학습경험(2020)-박사
      • - 청소년 자살 위험성과 영적 안녕감과의 관계(2004)-석사
    • 금창민 교수사진

      금창민 Changmin Keum

      전공
      교육상담
      학위
      서울대학교, 교육상담 박사
      직위
      조교수
      보직
      학생상담센터장
      전화
      (연구실) 02-2600-2561
      메일
      0f41@gangseo.ac.kr
      VIEW MORE >
      전공 및 학위
      • - 서울대학교 교육상담 박사
      • - 서울대학교 교육상담 석사
      • - 한동대학교 상담심리/사회복지 학사
      자격증
      • - 1급 전문상담사(한국상담학회)
      경력
      • - 현) 강서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조교수(2023~ )
      • - 현) 강서대학교 학생상담센터장(2023~ )
      • - 현) 한국중독상담학회 교육위원장(2023~ )
      • - 현) 한국중독심리학회 학술 및 연구이사(2023~ )
      • - 전) 인제대학교 상담심리치료학과 조교수(2020~2023)
      • - 전)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전임상담원(2018~2020)
      • - 전) 서울대학교 경력개발센터 특별상담원(2017~2018)
      • - 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출강(2019)
      • - 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강(2018)
      논문
      • 조항, 금창민, 김기정 (2022). 코로나19 재난상황을 경험한 국내 의료진의 심리사회적 어려움 및 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심리교육복지, 9(5). 113-135.
      • 김정숙, 이주선, 금창민 (2022). 중학생의 친구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도와 삶의 만족도의 이중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9), 825-839.
      • 조항, 금창민 (2022). 상담전공 학부생에게 요구되는 졸업생 역량에 대한 델파이조사 연구. 교육치료연구, 14(1), 43-59..
      • Keum, C. & Kim, D. (2022). The effect of internet game behavior monitoring on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visual feedback. Current Psychology, 41(6), 3339–3348.
      • Park, J. Y., Kim, E. J. & Keum, C. (2022).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Social Anxiet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and Rejection Sensitivity. Journal of Asia Pacific Counseling , 12(1), 97-115.
      • Kim, D., Nam J. E., Keum, C. (2022). Adolescent Internet gaming addiction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y game genre. PLoS One, 17(2), e0263645.
      • 정여원, 금창민 (2022). Satir 성장모델을 기반으로 한 대학생 이성커플의 일치성 향상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청소년학연구, 29(1), 37-65.
      • 이은실, 정주연, 금창민 (2021).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12(5), 1247-1261.
      • 김정숙, 전아영, 김정희, 김계순, 김명찬, 금창민 (2021). 여성 알코올 중독자의 중독과 회복과정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사회적 낙인과 지지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9(5),1-30.
      • 정여원, 금창민 (2021). 대학생 이성커플의 갈등해결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및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6),931-946.
      • 전아영, 조채연, 금창민 (2021). 한국인 및 자국민 친구로부터 받는 사회적지지가 베트남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5),39-54.
      • 정여원, 금창민 (2021). Satir 성장모델 기반 일치성 향상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이성커플의 경험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6(1), 113-135.
      • 이정민, 안지영, 금창민 (2021). 수퍼비전 작업동맹에 대한 국내외 연구 동향: 1983년~2019년까지. 교육치료연구, 13(1), 185-211.
      • 김동일, 안예지, 금창민, 임희진, 곽다은 (2018). 고등교육기관 다양성 지표 개발 연구. 열린교육연구, 26(2), 1-26.
      • 김동일, 이혜은, 금창민, 박알뜨리, 오지원 (2018). 청소년의 학교폭력노출 유형에 따른 회복과 적응을 위한 요인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32(1), 99-130.
      • 김동일, 금창민, 박알뜨리, 이승호 (2017).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예방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아시아교육연구, 18(2), 293-314.
      • 김동일, 라영안, 이혜은, 금창민, 박소영 (2016). 자유학기제 정착을 위해 교원들이 인식한 촉진요인과 저해요인 탐색. 교육심리연구, 30(2), 345-371.
      • 김동일, 정여주, 이주영, 김명찬, 이윤희, 강은비, 금창민, 남지은 (2012). 성인용 간략형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13(2), 629-644.
      • 김동일, 이윤희, 이주영, 김명찬, 금창민, 남지은, 강은비, 정여주 (2012). 미디어 이용 대체․보완과 중독: 청소년과 성인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 형태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20(1), 71-88.
      저서
      • 심리상담의 이론과 실제(공저, 마인드포럼, 2021)
      • 상담학 연구방법론: 연구논문 작성의 리얼 스토리(공저, 학지사, 2022)
    • 최영미 교수사진

      최영미 Choi, Young Mi

      전공
      상담 및 교육심리
      학위
      숙명여자대학교, Ed. D
      직위
      조교수
      보직
      학생상담부센터장
      전화
      (연구실) 02-2600-2589
      메일
      b13218@gangseo.ac.kr
      VIEW MORE >
      전공 및 학위
      •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박사(상담 및 교육심리 전공)
      경력
      • - 현) 강서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 - 현) 강서대학교 학생상담센터 부센터장
      • - 전) 강서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상담실장
      • - 전) 진학사 한국학습힐링아카데미 연구원(심리검사 및 프로그램 개발)
      • - 전) 교원 자기주도학습연구소 연구원(심리검사 및 프로그램 개발)
      • - 전) 국립한경대학교 출강(2007-2022)
      • - 전) 한국교통대학교 출강(2007-2022)
      • - 전) 숙명여자대학교 출강(2008-2018)
      • - 전) 순천향대학교 출강(2008-2013)
      • - 전) 강서대학교 출강(2013-2022)
      • - 전) 협성대학교 출강(2013-2013)
      • - 전) 호서대학교 출강(2017-2018)
      • - 전) 덕성여자대학교, 강남대학교, 강원대학교, 인천대학교 출강(2022)
      연구
      • - 서울시교육청,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초, 중학생용 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용 지도서 개발
      • - 안성시교육청, 마을과 연계한 학교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 연구
      • - 숙명여자대학교, 신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개발
      • - 순천향대학교, 대학생용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개발
      • - 진학사, 초・중・고등학생용 학습힐링 검사 및 프로그램 개발
      • - 교원, 초・중・고등학생용 자기주도학습 검사 및 프로그램 개발
      • - EBS, 자기주도학습 스스로 공부하기 프로젝트
      • - 초등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 개발 및 타당화
      • - 아동의 그릿,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 부모의 긍‧부정적 양육태도, 교사애착, 학업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 남녀 대학생의 진로결정관계성, 진로장벽, 진로결정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 대학생의 미래지향목표, 근접하위목표, 과제도구성지각 및 자기조절전략 간의 구조적 관계 외
      저서
      • - 연구방법론(교육과학사)
      • - 실제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방법론(교육과학사)
      주요연구분야
      • - 학습상담, 진로상담, 심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상담모형 개발 및 효과검증
  • 상담심리학과 교과과정

    년도별커리큘럼 *검색 연도를 선택해주세요.
    • 2022학년 입학자 이수학점

      2022학년 입학자 이수학점
      입학년도 예배 교양       전공     졸업최저
      이수학점
          특화 토대 핵심 교양계 필수 선택 전공계  
      2022 6회 5 8 25 38 0 45(75)~ 45(75)~ 130~
        ※ ( )안은 심화전공 이수자의 전공학점임
        ※ 복수전공자는 교양과 주전공은 본인의 입학년도 교육과정을 따르고, 복수전공은 복수전공을 허가받은 학년도의 복수전공의 전공학점을 이수해야 함.
        ※ 부전공자는 부전공의 전공 21학점 이상 이수
        ※ 편입생은 예배 2회, 기독교의이해/성서의이해 택 1 이수, 전공학점은 본인 학번의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이수해야 함.
      2022 상담심리학과 교육과정
      학기   1학기 2학기 합계
      학년 구분 과목명 학점 과목명 학점
      1학년 전선 상담심리학 3 학습이론 3  
      발달심리학 3 성격심리학 3  
      2학년 전선 상담이론과 실제 3

      직업상담심리학

      3  
      코칭심리학 3

      이상심리학

      3  
      심리통계 3

      미술치료이론과 실제

      3  
      심리측정과 평가I 3 심리측정과 평가II 3  
      청소년의 이해 3 사회심리학 3  
      3학년 전선 임상심리학 3

      상담 및 임상실습I

      3  
      중독상담 3

      인지행동치료

      3  
      독서치료 3

      놀이치료

      3  
      상담연구방법론 3 상담현장실무 3  
      산업 및 조직심리학 3 초시대상담 3  
      4학년 전선 상담 및 임상실습II 3 융과 아들러의 심리학 3  
      대상관계이론 3

      여성주의상담

      3  
      가족상담 3 집단상담 3  
      범죄심리학 3 재활심리 및 상담 3  
               
      전공과목 합계 48   48 96
    • 2021학년 입학자 이수학점

      2021학년 입학자 이수학점
      입학년도 예배 교양       전공     졸업최저
      이수학점
          특화 토대 핵심 교양계 필수 선택 전공계  
      2021 6회 5 8 25 38 0 45(75)~ 45(75)~ 130~
        ※ ( )안은 심화전공 이수자의 전공학점임
        ※ 복수전공자는 교양과 주전공은 본인의 입학년도 교육과정을 따르고, 복수전공은 복수전공을 허가받은 학년도의 복수전공의 전공학점을 이수해야 함.
        ※ 부전공자는 부전공의 전공 21학점 이상 이수
        ※ 편입생은 예배 2회, 기독교의이해/성서의이해 택 1 이수, 전공학점은 본인 학번의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이수해야 함.
      2021 상담심리학과 교육과정
      학기   1학기 2학기 합계
      학년 구분 과목명 학점 과목명 학점
      1학년 전선 상담심리학 3 학습이론 3  
      발달심리학 3 성격심리학 3  
      2학년 전선 상담이론과 실제 3

      직업상담심리학

      3  
      코칭심리학 3

      이상심리학

      3  
      심리통계 3

      미술치료이론과 실제

      3  
      심리측정과 평가I 3 심리측정과 평가II 3  
          사회심리학 3  
      3학년 전선 임상심리학 3

      상담 및 임상실습I

      3  
      중독상담 3

      인지행동치료

      3  
      독서치료 3

      놀이치료

      3  
      상담연구방법론 3 상담현장실무 3  
      산업 및 조직심리학 3 통합문화심리 3  
      4학년 전선 상담 및 임상실습II 3 융과 아들러의 심리학 3  
      대상관계이론 3

      여성주의상담

      3  
      가족상담 3 집단상담 3  
      범죄심리학 3 재활심리 및 상담 3  
      초시대상담 3   3  
      전공과목 합계 48   48 96
    • 2020학년 입학자 이수학점

      2018학년 입학자 이수학점
      입학년도 예배 교양       전공     졸업최저
      이수학점
          특화 토대 핵심 교양계 필수 선택 전공계  
      2020 6회 5 8 25 38 0 45(75)~ 45(75)~ 130~
      • ※ ( )안은 심화전공 이수자의 전공학점임
      • ※ 복수전공자는 교양과 주전공은 본인의 입학년도 교육과정을 따르고, 복수전공은 복수전공을 허가받은 학년도의 복수전공의 전공학점을 이수해야 함.
      • ※ 부전공자는 부전공의 전공 21학점 이상 이수
      • ※ 편입생은 예배 2회, 기독교의이해/성서의이해 택 1 이수, 전공학점은 본인 학번의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이수해야 함.
      2021 상담심리학과 교육과정
      학기 1학기 2학기 합계
      학년 구분 과목명 학점 과목명 학점
      1학년 전선 상담심리학 3 학습이론 3  
      발달심리학 3 성격심리학 3  
      2학년 전선 상담이론과 실제 3

      직업상담심리학

      3  
      코칭심리학 3

      이상심리학

      3  
      심리통계 3

      미술치료이론과 실제

      3  
      심리측정과 평가I 3 심리측정과 평가II 3  
      인지심리학   청소년의 이해 3  
      3학년 전선 임상심리학 3

      상담 및 임상실습I

      3  
          중독상담 3

      산업 및 조직심리학

      3  
          상담행정 및 실무 3

      인지행동치료

      3  
          독서치료 3 사회심리학 3  
          상담연구방법론 3 놀이치료 3  
              위기상담 3  
              상담프로그램개발 3  
      4학년 전선 상담 및 임상실습II 3 융과 아들러의 심리학 3  
      대상관계이론 3

      여성주의상담

      3  
      가족상담 3 집단상담 3  
      상담정책과 서비스 3 재활심리 및 상담 3  
      범죄심리학 3   3  
      전공과목 합계 51   54 105
    • 2019학년 입학자 이수학점

      2019학년 입학자 이수학점
      입학년도 예배 교양 전공 졸업이수학점
      필수 선택 합계 필수 선택
      토대 핵심
      2019 7회 13 4~8 17~21 38 0 39 130
      2019년 상담심리전공 교과과정 편성표
      학기 1학기 2학기 합계
      학년 구분 과목명 학점 과목명 학점
      1학년

      전공

      상담심리학 3 학습이론 3  
      발달심리학 3 성격심리학 3  
      소계 6 소계 6 12 
        6 6 12
      2학년 전선 상담이론과 실제 3 직업상담심리학 3  
      코칭심리학 3 이상심리학 3  
      심리통계 3 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3  
      심리특정과평가1 3 심리측정과 평가II 3
          청소년의 이해 3
      소계 15 소계 15 27
        15 15 27
      3학년 전선 임상심리학 3 상담 및 임상실습Ⅰ 3  
      중독상담 3 산업 및 조직심리학 3  
      상담행정 및 실무 3 인지행동치료 3  
      독서치료 3 사회심리학 3  
      위기상담 3 놀이치료 3  
          상담프로그램개발 3  
      소계 15 소계 18 33
        15 18 33
      4학년 전선 상담 및 임상실습Ⅱ 3 융과 아들러의 심리학 2  
      대상관계이론 3 여성주의 상담 3  
      가족상담 3 집단상담 3  
      상담정책과 서비스 3

      재활심리 및 상담

      3  
      소계 12 소계 12 24
        12 12 24
      전공선택 합계 45 51 96
      전공과목 합계 45   51 96
    • 2018학년 입학자 이수학점

      2018학년 입학자 이수학점
      입학년도 예배 교양 전공 졸업이수학점
      필수 선택 합계 필수 선택
      토대 핵심
      2018 7회 13 7~12 13~18 38 0 39 130
      2018년 상담심리전공 교과과정 편성표
      학기 1학기 2학기 합계
      학년 구분 과목명 학점 과목명 학점
      1
      학년
      전공탐색
      교양
      상담심리학 3 발달심리학 3  
      소 계 3 소 계 3 6
      - 3 3 6
      2
      학년
      전선 상담이론과 실제 3 성격심리학 3  
      학습이론 3 이상심리학 3  
      직업상담심리학 3 직업상담 3  
      인지심리학 3 사회심리학 3  
      심리통계 3 미술치료이론과 실제 3  
      심리측정과 평가I 3 청소년의 이해 3  
      소 계 18 소 계 18 36
      - 18 18 36
      3
      학년
      전선 임상심리학 3 상담 및 임상실습Ⅰ 3  
      코칭심리학 3 놀이치료 3  
      중독상담 3 인지행동치료 3  
      심리측정과 평가 II 3 독서치료 3  
      상담행정 및 실무I 2 위기상담 2  
      소 계 14 소 계 14 28
      - 14 14 28
      4
      학년
      전선 상담 및 임상실습 Ⅱ 3 상담행정 및 실무II 2  
      대상관계이론 3 재활심리 및 상담 3  
      가족상담 3 여성주의 상담 3  
      산업 및 조직심리학 3 융과 아들러의 심리학 3  
      범죄심리학 2 집단상담 2  
      소 계 15 소 계 14 29
      - 15 14 29
      전공탐색교양합계 3 3 6
      전공선택 합계 47 46 93
      전공과목 합계 50 49 99
    • 상담실습

      ◆ 실습목적

      상담 훈련 및 상담사 자격을 위한 필수과정으로 실제 상담현장의 주요 절차와 기법을 익히며, 내담자와 공감적으로 대면하고 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훈련을 통하여 상담자로서의 전문적 역할을 인식하고 역량을 강화

      ◆ 실습기간

      3학년 2학기(상담 및 임상 실습1), 4학년 1학기(상담 및 임상 실습2) 실습

      ◆ 실습기관

      상담기관 및 대학 내 학생상담센터 (또래상담 자격증과 연계)

      ◆ 실습자격
      실습자격
      상담심리전공 수업 수강 시 선수과목
      심리측정과 평가Ⅰ 발달심리학, 상담이론과 실제, 성격심리학
      심리측정과 평가Ⅱ 심리측정과평가I, 이상심리학
      상담 및 임상실습Ⅰ 발달심리학, 성격심리학, 상담이론과 실제, 이상심리학, 심리측정과 평가I/II, 미술치료이론과 실제 또는 놀이치료
      상담 및 임상실습Ⅱ 상담 및 임상실습Ⅰ

      졸업고사(졸업논문)

      • 졸업고사는 총 3차로 진행되며, 1차 응시 후 불합격 시 2,3차 시험자격 부여.
      • 아래의 자격을 다 이수하지 못하고 시험에 응시할 경우 불합격 처리
      ◆ 대상
      • 상담심리학과 주전공 및 복수전공 졸업예정자
      ◆ 응시자격
      • 1. 본 대학의 수업연한(4년/8학기) 이상을 등록한 자: 졸업논문(상담심리) 수강신청 必
      • 2. 각 입학년도의 이수학점을 모두 이수한 자
      • 3. 정해진 예배학점을 다 이수한 자
      • 4. 어학능력인증 혹은 영어회화능력인증을 받은 자
      • * 응시자격 요건 미충족 시, 시험응시 불가 및 불합격 처리
      ◆ 시행기간
      • 1. 전기졸업(2월 졸업): 매년 11월 시행
      • 2. 후기졸업(8월 졸업): 매년 5월 시행
      ◆ 합격 기준
      • 평균 60점 이상 합격
      • 과락 : 평균 60점 이상 받았을지라도 한 과목이 40점 미만 과락처리
      ◆ 시험 과목

      발달심리학, 상담이론과실제, 심리측정과평가(I,Ⅱ), 가족상담

  • 학과활동

    ■ 자격증 실습과정: 독서치료(독서심리상담사 2급 과정)

    (사)한국심성교육개발원을 통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등록된 자격증인 “독서심리상담사 2급”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특강으로 본 프로그램은 독서심리상담과 관련한 교육을 토대로 독서치료 프로그램 참여와 프로그램 운영을 경험해보게 되는 실습과정입니다.

    본 프로그램을 통해 독서치료 관련한 실습 경험을 토대로 하여 어린이 도서관, 지역아동센터, 정신건강증진센터 등과 연계하여 직접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소양을 기를 수 있을 것입니다.

    독서심리상담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향후 어린이 관련 기관 및 독서치료 분야의 취업 및 학업에 연계하여 상담사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얻는 시간이 되기를 기대하며 운영하고 있습니다.

    ▶ 최근 3개년(2018~2020) 『자격증 실습과정: 독서치료』 참가자 ‘독서심리상담사 2급’ 100% 취득

  • Student Activities 학생활동

    학생회

    학생회

    상담심리학과 학생회는 더 좋은 학과를 만들기 위해 수시로 학우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학교와 학과교수님들께 전달하고 있으며 『개강파티, MT, 축제, 종강파티』등을 직접 기획하고 실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학생회 활동은 리더십과 책임감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소그룹(마음지음) 소그룹(마음지음)

    소그룹(마음지음)

    심리학 관련 정보, 학과 소식, 교수님·현직 상담사 인터뷰, 심리학 관련 책·영화 등 다양한 콘텐츠를 수집하여 상담심리학과 소식지를 제작합니다.

    소그룹(상담플러스)

    소그룹(상담플러스)

    청소년상담사3급, 직업상담사2급 자격증 준비 스터디반으로 서로 관련 자격증의 정보 및 지식을 나누며 함께 시험 대비하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소그룹(상담톡)

    소그룹(여성주의상담)

    여성주의 상담의 이론적 이해와 연구, 토론, 사례개념화 연습 및 실습으로 여성 문제의 원인을 해소하는 방향을 이해합니다.

  • 실습공지

    실습·취업정보 게시판 리스트 - 구분,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파일으로 구성
    구분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파일
    실습·취업정보 10 화곡보건경영고등학교 중등 학습지원 튜터(상담) 홈페이지관리자 2023-05-25 50 1
    실습·취업정보 9 국립중앙청소년디딤센터 직원 체용 홈페이지관리자 2023-04-07 130 1
    실습·취업정보 8 2023 자연속애(愛)의원 상담 및 실무실습생 모집 홈페이지관리자 2023-03-08 208 0
    실습·취업정보 7 자연속애(愛)의원 상담 및 실무실습생 모집 홈페이지관리자 2022-12-09 422 0
    실습·취업정보 6 2023년 서울심리지원 3권역(서남)센터 자원봉사자 모집 홈페이지관리자 2022-12-06 471 0
    실습·취업정보 5 닥터오심리상담센터 유급 행정인턴 모집 공고 홈페이지관리자 2022-10-11 626 1
    실습·취업정보 4 시흥시가족센터 직원(청소년진로상담사) 채용 공고 홈페이지관리자 2022-10-11 559 1
    실습·취업정보 3 동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직원(팀원) 채용 공고 홈페이지관리자 2022-10-11 549 1
    실습·취업정보 2 심리상담클리닉 '뜨락' 11기 프리인턴 공고 홈페이지관리자 2022-10-05 779 1
    실습·취업정보 1 [상담심리학과] 실습·취업정보 사용법 홈페이지관리자 2022-10-05 643 0
  • 공지사항

    게시물 상세보기 - 제목, 등록일, 조회, 작성자, 내용으로 구성
    제목[상담심리학과]성공취업과 커리어디자인 수강 안내(편입생 해당 안됨)
    등록일2021-08-11조회1325
    작성자상담조교

    성공취업과 커리어디자인 수강 안내

     

    - 성공취업과 커리어디자인은 12,13,14,15,16학번(편입생제외) 학생이 졸업전 이수하여야 하는 필수과목입니다.

     

    - 해당 과목은 졸업 전 전공과 관련하여 취업 지도를 위해 종합인력개발센터에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과목으로 추천되었고

    각 학부 교수님께서 동의하셔서 교양필수로 지정된 과목입니다.

     

    - 수업은 입사지원면접, 비즈니스 매너, 직무역량 등 취업과 관련되어 필수적으로 학습되어야 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집니다.

     

    - 3-4학년만 수강신청 가능하며(1~2학년이 수강신청할 경우 수강취소됩니다.) 수강하지 않은 상담심리학과 4학년은 반드시 수강신청 바랍니다.

     

    - 해당수업의 이수가 면제되는 학생은 아래와 같습니다.
      
      * 현장실습(15학점과목) 이수자

      * 편입생

      * 기취업자

     

    감사합니다.

     

    관련 문의 교무 수업담당 : 02-2600-2453

     

     

     

    다음글 제목 등록일
    다음글 제목강서구자원봉사센터 자원봉사 교육강사단 모집 안내등록일2021-08-10
    이전글 제목[상담심리학과]교수님들과의 만남 '애들아, 보고싶다' 공지등록일2021-08-20
창 닫기